4. Linux - 기본적인 사용법
현재 위치 경로 확인
pwd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yrO/btqYN1mZ0Xw/2qmzT7V0y4hB8rZKOK47SK/img.png)
화면 전부 지우기
clear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Iras/btqYQv2pR2m/wNA1kocKnliclMyBQyHk50/img.png)
파일 경로
Window : C: - 드라이브 위치로 시작
Linux : / - /로 시작
Window : C:\users\계정
Linux : /home/계정
/home/계정에 있는 것 확인
ls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yn7g/btqYW10MknE/4hSHRbNwwGqxkj0wPSH0jK/img.png)
숨김파일까지 전부 검색
ls -a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WlmE/btqYKadF9SC/d51iWifohMAPSktca2fwT0/img.png)
리스트 형태로 보여주기
ls -l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hDlO/btqYKakuM0q/Xk04Wj0cuJSufJ8dhuOuP0/img.png)
숨김파일까지 전부 리스트 형태로 보여주기
ls -al
ll로 줄여쓰기 가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EGV1/btqY2t3ygxP/Q2PKwvG0kmqN1rwiIRK3mk/img.png)
키보드 방향키 위/ 아래
이전에 사용한 명령어 불러오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vKOb/btqYTNV24e5/cVopHn217LFgU647lzPnsK/img.png)
지금까지 사용한 명령어 보여주기
history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E9xi/btqYJ871qgm/BWOkYuavjVAy9PgIO8g8a1/img.png)
history에 있는 해당 번호 명령어 사용하기
!번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llb5p/btqYW3qNpTJ/uog74HEcrDXBYKK8sRgOz1/img.png)
폴더 안으로 들어가기
cd 폴더명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kvs6/btqYW2yBh1q/eKxRAqOxTxCuKKzXh7pEa1/img.png)
폴더 밖으로 나가기
cd .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AYaG/btqYW2MazTU/D1slEKcqOc13mTuBvbxjFK/img.png)
최상위 폴더
cd/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oLo3/btqYIjPzS6B/BpTa5IbKkc6QvTKNzxjgo1/img.png)
최초 위치로 이동
cd ~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j7YO/btqYJ9MB9ew/KD91RpiQ58NF0pazFqqrY1/img.png)
폴더 만들기
mkdir 폴더명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AETY/btqYW2FpVY4/6ullL7cPklkGHwSTEKBWR1/img.png)
폴더 만들어서 폴더 안으로 들어가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kYkc/btqYZ6U2aCT/N6NVYQN1ZuhmDLZeSfMSNK/img.png)
vi editor(visual editor)
Window의 메모장 기능
vi 파일명
파일이 있으면 열여주고 없으면 만들어줌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fiea/btqYTO1IlT6/G8KRPF8kcPKdOzlb8HcfGk/img.png)
a 누르면 작성 시작
esc 누르고 :q! 눌러서 파일 빠져나오기
vi editor는 키보드의 화살표를 안쓰게 되어있음
vi tiny가 기본 설치 되어있음
vi tiny 지우기
sudo apt-get reomve vim-tiny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0RWx8/btqYZ5ICkbm/ZgnpGyxHPjn49ewZv69nf1/img.png)
vi 정식버전 설치하기
sudo apt-get install vim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QNSB/btqY2tbpoZV/9k6NkGYRjfmsKyLgcSjXn1/img.png)
vi 정식 버전 설치하면 키보드 방향키 사용 가능
vi editor
a를 누르면 입력모드로
esc를 누르면 설정모드로
vi editor 설정모드
찾기
/검색어
삭제
dd
복사
yy
붙이기
p
저장하고 종료
:wq!
그냥 종료
:q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파일 복사하기
cp 뭐를 어디에 : 복사
cp test.txt t
text.txt를 t라는 폴더 안으로 복사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gCWH/btqY5LpiEGz/L6ZU1l9RlsuPV96hY8pwEk/img.png)
파일 이동 시키기
mv 뭐를 어디에 : 파일 이동
삭제 하기
-rf 옵션이 들어가면 파일이든 폴더든 지워줌
rm -rf 뭐를
예제
t2 폴더를 만들어서 test.txt를 옮기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72kU/btqYTO1JMGw/V8LcurkDPAoPPMZODQnID1/img.png)
압축과 아카이빙
아카이빙 : 파일 여러개를 하나로 묶음
압축 : 파일 하나의 사이즈를 줄임
아카이빙
tar
압축
gz(gzip)
bz2(bz2)
tar 옵션 뭐를
c : 하기
x : 풀기
v : 과정 보여주기
z : gz
j : bz2
f 파일명 : 파일 지정
예제
t2폴더를 ttt.tar.gz로 아카이빙 & 압축
tar cvzf ttt.tar.gz t2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snHz/btqYJ90hrgm/xsXezHNFxAeBlW92RoNNik/img.png)
ttt.tar.gz 압축 해제
tar xvzf ttt.tar.gz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S033/btqYZ5WaRnh/wSLl7btn3tVrsBWaRPXkD0/img.png)
zip으로 압축
zip -r 파일명 뭐를
t2폴더를 tttt.zip으로 아카이빙 & 압축
zip -r tttt.zip t2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HPMA/btqYLzdggWO/SY3A6rN02RdhxBSSCra7bK/img.png)
zip 압축 풀기
unzip 파일명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9C6K/btqYQxzfaxt/RFNApcjd9qLLW9UViowt9K/img.png)
작업 순서
Window에서 eclipse 사용해서 프로그램 개발
실행 배포 파일로 만들기(Runnable JAR File)
.jar, .csv 파일 Linux쪽으로 업로드
폴더 옮기고, 압축 풀고 정리해서
.jar 프로그램 실행 -> 결과가 나옴
결과 파일을 Window로 다운로드
R/Excel로 마무리
# tap키 누르면 자동완성
'Hado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Hadoop - Linux에 openJDK 설치하기 (0) | 2021.03.02 |
---|---|
5. Hadoop - FTP server (0) | 2021.03.02 |
3. Hadoop VirtualBox 가상시스템 가져오기 (0) | 2021.03.02 |
2. Hadoop - openssh, putty 설치 (0) | 2021.02.26 |
1. Hadoop - VirtualBox, Ubuntu 설치하기 (0) | 2021.02.26 |